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2차전지 ETF] 국내 배터리 업체에 투자하자. KODEX 2차전지산업

by 발산동 2021. 2. 2.

2020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던 산업은 비단 2차전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LG화학과 삼성 SDI의 주가가 엄청나게 올라갔는데요.

이러한 배터리 산업의 호황은 일시적인게 아니라 전기차, 친환경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계속될 전망이라는 얘기가 각종 매체에서 많이 들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큰 배터리 회사들의 기술력 또한 세계 시장에서 먹히고 있어

굳건한 점유율을 보여주면서 사업 확장도 확실하게 하고 있는데요. 

 

LG화학은 세계 배터리 업계 1위 업체인 CATL을 상대로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는 상황이고

삼성 SDI의 경우는 얼마 전 테슬라에 에너지 저장 장치인 ESS(Energy Storage System)을

세 번째로 공급한다는 기사가 나기도 했었죠. 

삼성 SDI 테슬라 ESS 공급 관련 기사 헤드라인

이처럼 우리나라 배터리 회사들이 시장에서 강한 힘을 보여주고 있고, 

이것이 그대로 주가에 반영이 되어 기존에 투자하신 분들에게는 높은 수익률을 안겨주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새로 진입해서 투자하기란 쉽지가 않은데요. 

산업의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해 보이지만, 가격이 너무 올라 쉽사리 손이 안 나가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저렴한 금액으로 배터리 산업에 투자할 수 있는 ETF가 있습니다.

바로 오늘 소개드릴 KODEX 2차전지산업 입니다.

 

장, 단점과 투자에 대한 제 의견은 맨 아래에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개요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기초지수 FnGuide 2차전지 테마 지수
상장일 2018.09.12
순자산 총액 9,855억원
총보수 연 0.450%
분배금 최대 연 5회(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

분배금을 살펴보면 2020년에는 연 1회(4월) 주당 60원의 분배금을 지급했습니다.

FnGuide 2차전지 산업 지수는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 종목 중 2차전지 Value Chain(2차전지 관련 원재료, 장비, 부품, 제조 등) 관련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종목별 Scoring을 부여하고, Scoring 상위 25 종목을 선정하여 Scoring과 유동 시가총액을 동시에 반영하는 가중방식으로 구성한 지수입니다.

종목에 대한 상세 정보는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ODEX

코덱스 공식홈페이지, 증권사 리포트모음, 대한민국 ETF 시장의 선도자, KODEX는 국내 시장을 뛰어넘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ETF 운용사를 지향합니다.

www.kodex.com

수익률

수익률을 보면 배터리 산업보다는 직접투자를 하는 게 더 좋은 게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하락장에는 다른 종목들에 비해 2차전지 산업 ETF가 더 완만하게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락장에도 크게 흔들리지 않는다는 것이 ETF만의 분산투자가 가진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래에 수익률과 가격비교를 하는 표와 연간 수익률에 대한 차트를 가져왔습니다.

2차전지 산업 ETF의 수익률은 1년 기준으로 봤을 때 LG화학과 삼성 SDI보다는 낮고,

SK이노베이션보다는 높습니다.

비교를 위해 2020년 동학 개미 운동의 주인공 삼성전자도 같이 넣어보았습니다.

 

* 현재가 기준일: 2021.02.01

티커 종목명 1년 수익률 현재가
305720.KS KODEX 2차전지 산업 155.27% 19,745원
051910.KS LG화학 205.96% 950,000원
006400.KS 삼성SDI 219.74% 745,000원
096770.KS SK이노베이션 109.27% 316,000원
005930.KS 삼성전자 49.38% 83,000원

1년 수익률 비교

투자종목

상위 10개 투자종목이 가지는 비중이 50%가 넘습니다. 정확히는 상위 3개만으로도 절반이 넘어가지요.

상위 3개 종목은 국내 3대 배터리 회사인 SK이노베이션(18.41%), LG화학(17.23%), 삼성 SDI(14.75%)입니다.

포스코케미칼(14.08%)과 에코프로(12.45%)는 위 3개 회사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배터리의 핵심소재인 양극재를 생산하는 회사이고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투자 비중이 알려주듯 상위 1~5위 종목이 이 ETF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KODEX 2차전지산업 상위 10개 투자종목

결론

현재가 기준으로 국내 3대 배터리 기업의 주식을 1주씩 매수한다고 하면 

LG화학 950,000원 + 삼성 SDI 745,000원 + SK이노베이션 316,000원 = 2,011,000원이 필요합니다.

KODEX 2차전지산업 ETF가 가지는 메리트가 여기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수익률은 떨어질 수 있고 재미는 없겠지만 1주당 19,745원으로 배터리 산업 전체에 투자가 가능합니다.

 

또한, 산업에 투자하는 ETF가 가지는 장점은 리스크 헷징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제가 생각하는 국내 3대 배터리 기업이 가지고 있는 불확실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LG화학은 이미 LG에너지솔루션으로 배터리 사업을 분사하고 올해 상장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제 생각엔 LG화학의 주가는 잠시 멈추고 에너지솔루션으로 돈이 움직일 것 같습니다.

 

또한 며칠 전에 사실로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현대차 E-GMP 3차 배터리 공급사가

삼성 SDI가 아닌 SK이노베이션이라는 기사도 올라왔었죠. 이 또한 삼성SDI가 가진 불안요소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SK이노베이션에는 좋은 소식입니다.

 

하지만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관련 소송이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요.

원래 2020년 12월에 결론이 났어야 하는 것이, 이번 달 10일로 미뤄졌습니다. 

여기서 결론이 어떻게 나냐에 따라 배터리 시장이 요동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회사가 아닌 배터리 산업에 투자를 한다면, E-GMP 공급사가 국내 배터리 회사기만 하면 

산업은 발전할 것이고,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소송의 결과가 누구던간에 어쨌든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때문에 산업 자체는 다시 성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점이 ETF가 가지고 있는 큰 장점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배터리 산업에 대한 가능성은 보이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서 매수가 어렵거나 종목을 정하기 어렵다면

KODEX 2차전지산업 ETF를 시작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은 접근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잘못된 점에 대한 지적과 의견교환은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감사합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의 몫입니다.

 

 

댓글